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중국 관세 인상으로 주식시장 하락, 2025년 3월 CPI 인플레이션 하락, 주식 시장 혼란이 끝나지 않은 이유

by Sandwich_Gen 2025. 4. 11.
반응형

4월 9일 미국주식 마감뉴스

 

🗓️오늘 미국 증시 마감 현황

 

나스닥이 4% 하락하면서 주가가 폭락했고, 다우지수는 시장에 새로운 중국 관세가 다가옴에 따라 1,000포인트 하락했습니다.

 

미국 증시가 사상 최고의 하루를 보낸 지 하루 만에 관세 헤드라인이 다시 시장에 부담을 주면서 목요일 증시는 급락했습니다.

S&P 500 지수(GSPC)는 3.5% 가까이 하락했고,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IXIC)는 4.3% 하락했습니다.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DJI)는 1,014포인트(2.5%) 하락했습니다. 채권 시장의 급등과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 관세 철폐 결정에 대한 역할로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TNX)은 4.39% 내외로 보합세로 마감했습니다.

 

4월 9일 주식 시장

 

백악관은 목요일에 중국에 대한 총 관세율이 145%에 달할 것이라고 확인했습니다. 이는 기존 20% 관세에 새로운 관세가 추가된 결과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하루 전 트루스 소셜에 중국 관세율이 125%가 될 것이라고 발표했는데, 이 소식은 많은 투자자들에게 충격을 주었습니다.

 

이러한 관세 소식 이후 주식시장은 급격히 하락하여 당일 최저점을 기록했습니다. 뉴욕증권거래소의 에릭 크리스쿠올로 시장 전략가는 "오늘의 지속적인 하락은 시장에 여전히 큰 불확실성이 존재함을 보여준다"고 설명했습니다.

 

거래 시간 중 주가가 잠시 회복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지만, 결국 시장은 최저점으로 마감했습니다. 계속되는 관세 관련 뉴스로 인해 시장은 계속해서 압박을 받고 있습니다.


 

🌟 트럼프의 90일 관세 유예에도 주식 시장 혼란이 끝나지 않은 이유

트럼프 대통령의 90일 관세 유예 발표에도 주식 시장의 불안은 계속되고 있습니다. 4월 11일 야후 파이낸스 기사에 따르면, S&P 500은 하루 만에 2008년 이후 최고 상승폭을 기록했지만, 곧이어 중국에 대한 관세가 기존 125%에서 145%로 상향 조정되며 시장은 다시 출렁였습니다. S&P 500은 최대 6%, 나스닥은 7%, 다우존스는 2,100포인트(5% 이상) 하락하며 변동성을 드러냈습니다.

 

전문가들은 이 유예가 일시적일 뿐, 불확실성이 여전하다고 경고합니다. 경제 성장 둔화 우려와 기업들의 투자 위축 가능성이 제기되며, 1분기 실적 발표도 낙관적이지 않을 전망입니다. S&P 500은 연초 대비 11% 하락, 최고점 대비 15% 이상 떨어진 상태로, 시장 회복까지는 험난한 길이 예상됩니다.


📉 2025년 3월 CPI 인플레이션 하락: 트럼프 관세가 뒤바꿀까?

 

2018년 이후 CPI 및 핵심 CPI 전년 대비 백분율 변화

 

3월 소비자물가지수(CPI)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인플레이션이 완화 조짐을 보였습니다. 야후 파이낸스 4월 10일 기사에 따르면, 연간 CPI는 2.4% 상승으로 2월(2.8%)보다 둔화됐고, 경제학자 예상(2.5%)도 밑돌았습니다. 월간 CPI는 0.1% 하락하며 2020년 5월 이후 처음으로 감소했고, 핵심 CPI(식품·에너지 제외)는 연간 2.8% 상승으로 4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주거비 상승세가 둔화(연간 4%)되고 에너지(-2.4%), 항공료(-5.3%) 등이 하락하며 물가 압력이 줄었으나, 식품(0.4%)과 달걀(60.4%) 가격은 여전히 높습니다. 하지만 트럼프의 중국 관세 125% 상향 등 무역 정책으로 인해 전문가들은 향후 인플레이션 반등과 경기 침체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습니다. 연준은 금리 조정에 신중한 입장을 유지 중입니다.

 

인플레이션 현황


💰 미국 30년물 국채 경매: 관세 불안 속 안정 신호?

 

블룸버그 4월 11일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의 관세 정책으로 요동치던 29조 달러 규모의 미국 국채 시장이 30년물 국채 경매에서 안정 신호를 보였습니다. 220억 달러 규모의 경매는 강한 수요를 기록하며 30년물 수익률이 4.83%로 안착했고, 단기 국채는 3월 인플레이션 완화 소식에 힘입어 상승했습니다. 이번 주 초 30년물 수익률은 5%까지 치솟았으나, 경매 결과는 관세 우려에도 구매자가 존재함을 보여줬습니다.

 

전문가들은 높은 수익률이 매수 유인을 제공했다고 분석하지만, 장기 투자자의 지속적 관심은 미지수라고 경고합니다. 트럼프의 90일 관세 유예로 주식은 반등했으나, 채권 시장은 여전히 무역 전쟁과 금리 전망에 민감하게 반응 중입니다. 향후 몇 주간 불확실성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Ummm...

발표된 CPI 수치로는 인플레이션 완화라는 평가가 있지만 실제 소비자 입장에서는 계속되는 물가 상승만 느끼고 있다는 평입니다. 개인적으로 봐서는 올초 시작된 계란 가격도 안정되기는 커녕 계속 높은 가격을 유지 혹은 상승하고 있고 덕분에 빵 가격도 점점 오르고만 있습니다. 

 

자동차 보험, 집 보험 등도 상승하여 가정 경제는 위축되어 있고, 위축되고 있는 현실이라 CPI 수치에 의구심을 가지는 평이 많습니다. 따라서 관세 정책과 이러한 실제 경제로 인해 주식 시장은 계속 변동성이 극심할 듯 합니다. 

 

오늘도 안전 투자 하시기 바랍니다.

 

 

(기사 출처: 야후 파이넨스)

 

반응형